LG전자 `1분기 깜짝 실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05:46
본문
Download : 090422102615_.jpg
하지만 마케팅 투자 확대로 지난해 1분기 13.9%를 기록했던 휴대폰 영업이익률이 6.7%로 반토막난 것이 부담이다.
LG전자 `1분기 깜짝 실적`
레포트 > 기타
순서
LG전자 관계자는 “올 1분기 주요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 향상과 시장 다變化가 정착되면서 경기 침체 속에서도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거뒀다”며 “2분기에 각 사업본부별 신제품 출시 확대와 함께 에어컨 성수기 진입에 따른 점유율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LG전자 `1분기 깜짝 실적`
LG전자가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수준의 실적을 올린 데는 휴대폰과 LCD TV, 에어컨 등 주력 제품의 경쟁력이 한몫했다. 또 원가 절감 활동 등을 통해 이익률도 작년 같은 기간(4.4%)에 비해 소폭 상승한 4.6%를 기록했다.
설명





LG전자가 주요 제품의 브랜드 향상을 통한 수익성 개선 및 비용 절감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선전했다.
LG전자 `1분기 깜짝 실적`
Download : 090422102615_.jpg( 42 )
양종석기자 jsyang@etnews.co.kr
TV 사업을 관장하는 홈엔터테인먼트(HE) 부문은 경기 침체 및 계절적 비수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작년 1분기(3조6222억원)보다 18.6%나 성장했다. LG전자 측은 2분기에 에어컨 사업 성수기 진입과 휴대폰 신제품 출시를 통한 점유율 개선으로 10% 이상의 성장을 기대했다. 2분기에는 중가형 모델 강화와 효율적인 마케팅 투자를 통해 점유율 확보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올해 초 조직개편 이후 제품 및 시장 다각화에 주력하면서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구축했다는 평가다.
다.
LG전자 `1분기 깜짝 실적`
휴대폰이 주력인 모바일커뮤니케이션즈(MC) 부문은 계절적 비수기 influence으로 작년 같은 기간(2440만대)보다 7% 감소한 2260만대를 판매했다. LG전자는 2분기에도 신흥시장 성장과 함께 선진 시장의 세컨드TV 수요 증가로 수량은 상승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2분기에 성수기에 진입하고 각국 政府(정부)의 소비 활성화 정책 등에 힘입어 주요 시장을 중심으로 수요 회복이 기대된다.
홈어플라이언스(HA) 부문은 글로벌 경기 침체 influence으로 달러 기준으로는 21% 역성장했지만, 환율 결과 에 힘입어 원화 기준으로 16% 성장했다. 하지만 노키아를 비롯한 소니에릭슨·모토로라 등 경쟁사의 부진으로 9%를 상회하는 사상 최대 점유율이 기대된다. 특히 영업이익 2551억원으로 전사 영업이익 과반 이상을 차지하며 실적을 주도했다.
모니터 등을 관장하는 비즈니스솔루션(BS) 부문은 시장 수요 급감과 판가 하락으로 매출이 하락했다. 특히 LCD TV는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36%나 성장했으며, 유럽지역 평판TV 출하량도 작년보다 60% 가까이 늘었다.
새해 조직 개편을 통해 독립 사업본부를 출범한 에어컨디셔닝(AC) 부문은 신모델 출시를 통한 프리미엄 비중 확대와 비용 절감을 통해 당초 계획 대비 매출을 초과 달성했다. 하지만 2분기 신흥 시장의 안정적인 성장과 함께 신규 거래서 발굴과 신모델 출시를 통해 매출 개선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또 전술 시장을 중심으로 점유율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브랜드 가치 향상과 패널-세트로 이어지는 수직 계열화를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analysis이다. 작년에 비해 매출이 줄어든 사업본부는 BS가 유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