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순수분리 배양 및 보존 test(실험) 보고서 3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9:17
본문
Download : [미생물] 순수분리 배양및보존-실험보고서.hwp
② 주입평판법 시료를 연속적으로 희석한 후 시료의 일부를 액상의 고체배지에 섞은 다음 평판접시에 함께 부...
미생물 순수분리 배양 및 보존 실험 보고서 3
- 시험관, 플라스크, petri-dish 등의 작은 용기를 사용
- 접종 도구 멸균된 백금이(loop)나 피펫 이용 †. 미생물의 순수 분리
[미생물] 순수분리 배양 및 보존 test(실험) 보고서 3
- 고체배지 위에서 독립된 집락 형성(보편적인 방법)
- 접종균 배양용기에 접종되는 미생물체
⑴ 두 종류 이상의 미생물이 혼합된 시료나 배양액(or 희석액)으로부터 단일 colony를
자연 상태로부터 단일 종류에 미생물을 얻기 위해서는 첫째 다른 것으로부터 순수하게 분리하여야 하며, 둘째 순수 분리한 균을 적절한 environment(환경) 에서 다른 미생물의 오염이 없이 배양하는 두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① 획선평판법 멸균된 백금이에 분리하고자 하는 미생물의 시료를 묻혀 고체배지의 한쪽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도말
실험2. 결과보고서
- 목적한 미생물 외에는 어느 생명체도 용기 내부에 오염되지 않도록 함
▶ 실험원리
![[미생물] 순수분리 배양및보존-실험보고서-6843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B%AF%B8%EC%83%9D%EB%AC%BC%5D%20%EC%88%9C%EC%88%98%EB%B6%84%EB%A6%AC%20%EB%B0%B0%EC%96%91%EB%B0%8F%EB%B3%B4%EC%A1%B4-%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6843_01.gif)
![[미생물] 순수분리 배양및보존-실험보고서-6843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B%AF%B8%EC%83%9D%EB%AC%BC%5D%20%EC%88%9C%EC%88%98%EB%B6%84%EB%A6%AC%20%EB%B0%B0%EC%96%91%EB%B0%8F%EB%B3%B4%EC%A1%B4-%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6843_02_.gif)
![[미생물] 순수분리 배양및보존-실험보고서-6843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B%AF%B8%EC%83%9D%EB%AC%BC%5D%20%EC%88%9C%EC%88%98%EB%B6%84%EB%A6%AC%20%EB%B0%B0%EC%96%91%EB%B0%8F%EB%B3%B4%EC%A1%B4-%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6843_03_.gif)


- 집락(colony) 고체배지 위에 한 종류의 미생물만으로 형성된, 육안으로 observe이 가능한 크기의 미생물 모임
▶ 실험タイトル 순수분리, 배양 및 보존
도말하는 방법 한쪽에서 점진적으로 도말→ 접종균이 차츰 희석→ 마지막 도말부위에는 한 개의 세포가 존재하도록 함
⑵ 순수 분리된 미생물을 이용한 다른 실험을 위해 계대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 순수배양의 정의(定義)
▶ 실험일자 4월 4일 수요일
실험2. 결과보고서 ▶ 실험일자 4월 4일 수요일 ▶ 실험제목 순수분리,...
순수 분리하기위한 기술을 습득한다.…. 순수분리 및 배양방법
Download : [미생물] 순수분리 배양및보존-실험보고서.hwp( 34 )
- 다른 종류의 생명체가 섞여있지 않은 단일종의 미생물 집단이 있는 상태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설명
test(실험) 2. 결과보고서 ▶ test(실험) 일자 4월 4일 수요일 ▶ test(실험) headline(제목) 순수분리,...
- 검체를 최종 희석액 1㎖에 하나의 미생물이 있도록 희석
[순수배양] ƒ. 순수배양의 필요성(必要性)
▶ 실험목적
- 무균 상태의 용기 필요
특정 미생물의 기본형태, 구조, 영양 요구조건, 성장에 적합한 environment(환경) , 대사산물, 다른 미생물과의 상호관계 및 병원성 등 알기 위하여 순수배양이 필요하다.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