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의 공시론적 분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06:25
본문
Download : 국어학의공.hwp
이에 따라 나뉜 지역을 방언권(方言圈)이라고 한다.
설명
국어학의 공시론적 분류
5. 방언학





다. 따라서 방언학에서는 방언 구획이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적절한 방언제보자를 선정하여 질문지의 모든 질문을 종합하여 지도 위에 일정한 부호나 색채로 표시하여 작성 한다.
국어학의공시론적 분류 음운론 문법론 의미론 음성학 / (국어학의 공시론적 분류)
순서
4. 음성학
Download : 국어학의공.hwp( 47 )
방언현상에 대한 지리적 분포도. 언어단위에 따라서 지도 위의 분포 양상이 달라지는데, 주요한 언어단위로는 음운(音韻), 어휘(단순한 어휘의 분포와 그 어휘의 의미장을 고려한 분포가 있을 수 있다 ), 문법요소 등을 들 수 있다 방언지도를 작성하려면 원칙적으로 언어단위에 입각한 조사지, 즉 질문지가 작성되어야 하며, 조사지역의 정치, 문화, 경제,풍속 등에 대한 충분한 사전지식을 지녀야 한다.
국어학의공시론적 분류 음운론 문법론 의미론 음성학 / (국어학의 공시론적 분류)
국어학의공시론적 분류 음운론 문법론 의미론 음성학
1. 음운론
3. 의미론
(1) 방언지도
2. 문법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5. 방언학
방언의 제 양상을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 주된 연구과제는 각각 하나의 방언을 전체의 체계로 보아, 그 방언을 음운체계ㆍ문법체계ㆍ어휘체계 등 전체구조를 파악하고, 각각의 기술된 체계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언어 전체의 분화양상을 연구하는 것이다. 국어의 방언권 구획은 학자에 따라 다르나 대개는 평안방언, 함경방언, 경기방언, 경상방언, 전라방언, 제주방언 등 6개로 나뉜다. 방언을 구획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방언에 나타나는 구조적 가치를 지닌 방언 특징에 의해 등어선(等語線 : isogloss)을 설정하고, 그 등어선들에 의하여 방언경계선을 긋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