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2학기 형법각론 출석대체시험 point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2:01
본문
Download : 20112출석대체_법학1_형법각론.pdf
1) 유체성설
② 관리 불가능한 자연력(예: 공기, 바닷물)은 제외
(1) 재물의 의의
③ 재물죄인 동시에 이익죄: ‘강도죄, 사기죄, 공갈죄’
2. 재물
제3장 강도죄
- 중 략 -
3부 재산적 법익에 대한 죄
(1) 재물죄와 이익죄(객체를 기준으로)
- 즉, 재물로 인한 이득 취득 여부는 문제되지 않음(그러나 보호의 가치, 즉 주관적 가치는 있어야 함)
방통대형법각론,형법각론출석대체시험,방송대형법각론,방송통신대학교형법각론
① 재물죄: ‘절도죄, 횡령죄, 장물죄, 손괴죄’
① 적극설: 반드시 재물의 장소적 이전을 필요로 하지 않음
②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물체 (고체, 액체, 기체)
① 관리 가능한 것이면 유체물은 물론 무체물도 재물임
② 판례는 그렇지 않다고 봄: 사진, 편지, 주민등록증 등도 재물
2011년 2학기 형법각론 출석대체시험 point체크
제1장 재산죄의 기초definition
제3부 재산적 법익에 대한 죄
- 반드시 경제적 가치나 교환가치를 가질 필요는 없음
① 재물은 반드시 재산적 가치를 가져야 하는가?
① 재물: 유체물을 의미
② 소극설(다수설): 절취 · 강취의 definition 은 재물의 장소적 이전을 포함
③ 정착물이 토지에서 분리되거나 건물 일부가 건물에서 떨어진 때에는 절도죄의 객체가 될 수 있음
③ 단, 권리의 객체에 제한 (권리주체나 권리 그 자체는 제외)
순서
(3) 재물과 부동산
-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② 특별규정 여부 준용규정이 없는 경우 (장물죄, 권리행사방해죄)
설명
② 손괴죄: ‘영득 의사를 요하지 않는다.’
1. 재산죄의 분류
1) 부동산이 절도 · 강도죄의 객체가 될 수 있는가?
(2) 영득죄와 손괴죄(영득의사 여부에 따라)
제1장 재산죄의 기초개념
3) 구별의 실익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3부 재산적 법익에 대한 죄 제1장 재산죄의 기초개념 제2장 절도죄 제3장 강도죄 -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③ 재물죄는 재물에 대한 지배라는 형식적·법적 지위를 보호하는 것
① 영득죄: ‘(불법) 영득의 의사를 요함’, 절도죄, 강도죄, 사기죄, 공갈죄, 횡령죄
② 이익죄: ‘컴퓨터 등 사용사기죄, 배임죄’
Download : 20112출석대체_법학1_형법각론.pdf( 89 )





제2장 절도죄
(2) 재산적 가치의 요부
2) 관리가능성설(통설)
① 제346조: “관리할 수 있는 동력은 재물로 간주함”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