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본성에 대한 유학적 시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14:24
본문
Download : 인간 본성에 대한 유학적 시각.hwp
7) 순자는 성을 논한다고 했지만 사실은 기를 논한 것임.
-> ‘순자는 좋지 않은 사람의 성만을 보고 그 속성이 악하다고 말했다’라고 함
양…(省略)
인간 본성에 대한 유학적 시각에 대해 분석한 자료입니다. 유학사상총정리한글97[1] , 인간 본성에 대한 유학적 시각인문사회레포트 ,
다.
순서
Download : 인간 본성에 대한 유학적 시각.hwp( 88 )
인간 본성에 대한 유학적 시각
설명
유학사상총요점한글97[1]






레포트/인문사회
인간 본성에 대한 유학적 시각에 대해 분석한 data(자료)입니다.
,인문사회,레포트
.
(3) 주자(朱子)
1) 인간은 리와 기에 의해 존재
2) 인간의 성에서 본연의 성은 리이고 기질의 성은 기이다.
5) 성은 보편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누구에게나 다 같이 있는 것이다.
-> 성선설
6) 맹자는 성만을 논하고 기를 논하지 않았기 때문에 성설을 완전히 갖추지 못했다고 평했다.
3) 본연의 성인 리는 지극히 선한 것이고 기질의 성인 기는 인간의 사고와 감각 등을 포함한 것으로 이런 기의 작용에 의해 인간은 악해질 수 있는 경향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고 이런 기에 의해 인간의 인욕이 발생하여 지극히 선한 본연의 성인 리의 발현을 막게 된다
4) 따라서 인간은 기에 의해 생긴 인욕을 제거하여 본연의 성인 리를 발현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