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1:56
본문
Download : 관련.hwp
<새국어생활제 7권 제 4호 참조>
1. 우리 나라 표준어의 history
표준어규정이원칙 표준어규정이역할 표준어의歷史(역사) / (표준어 규정이 원칙)
I. 서론
설명
formula적으로 표준어를 정하고 그 내용을 명문으로 규정했던 사실이나 기록은 19세기말까지도 확인되지 않는다.
II. 본론
표준어규정의원칙 표준어규정의역할 표준어의역사 / (표준어 규정의 원칙)
1. 우리 나라 표준어 규정의(定義) 원칙
Download : 관련.hwp( 94 )
1. 우리나라 표준어의 history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우리 나라 표준어 규정의(定義) 역할
III. conclusion(결론)
표준어규정의원칙 표준어규정의역할 표준어의역사
표준어
이후 우리 표준어는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과 큰사전을 준거로 삼아 왔었으나 언어의 변천과 더불어, 규정상의 미비가 드러나고, 현대국어에서 표준어로 인정하기 어려운 예가 보이며, 국어 사전 간에 표준어 처리가 일치하지 않는 예가 있을 뿐 아니라, 표준 발음법의 미비로 특히 국어 교육상 많은 지장을 주는 점이 문제가되는점 으로 제기되었다. 조선어학회에서 표준어 6231, 비표준어 3082, 약어 134, 한자어 100, 총 9547어를 조사하여 낸 査定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1936)은 우리 손으로 우리 표준어를 처음으로 정한 것으로 history적 의의가 크다. 표준어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일제 강점기하의 조선어학회에서한글마춤법 통일안 작성 작업을 하면서부터이다.
순서
다. 그래서 1970년부터 표준어와 한글 맞춤법 등의 개정 작업이 시작되었고, 이후 18년 동안 문교부 →학술원 →국어연구소를 거치면서 깁고 다듬어져, 1988년 1월 표준어 사정 원칙과 표준 발음법을 보이는 표준어 규정이 고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