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학습된 무기력과 의식구조 관계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22:22
본문
Download : 교사의 학습된 무기력과 의식구조 관계에 관한 고찰.hwp
up교사의학습된무기력 , 교사의 학습된 무기력과 의식구조 관계에 관한 고찰사범교육레포트 , 교사의 학습된 무기력과 의식구조 관계에 관한 고찰
up교사의학습된무기력
레포트/사범교육
교사의 학습된 무기력과 의식구조 관계에 관한 고찰
다.
네째, 교사의 연령에 따라 학습된 무기력 척도의 전체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그러나 학습된 무기력 척도의 하위요인인 우울·부정적 인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F(1, 1035) 〓 23.39, p[.001), 여자교사는 남자교사 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 또한 책임성의 결여에서도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F(1, 1035) 〓 7.52, p[.05) 남자교사가 여자교사에 비해 책임성의 결여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근무하는 학교에 따라 학습된 무기력 척도의 전체점수에서 통계적 의의는 없었으나, 중등학교(M〓2.73, SD〓.82)가 학습된 무기력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초등학교(M〓2.72, SD〓.86), 고등학교(M〓2.67, SD〓.85)의 순서를 보이고 있다
학습된 무기력척도의 하위요인인 통제성의 결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F(2, 1034)〓3.16, p[0.5). 사후검증결과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중등학교와 고등학교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고등학교에 비해 초등학교에서 교사들의 통제성 결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성 결여에서는 연령( F(3, 1033) 〓 12.74, p[.001)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사후검증결과 41세 이상의 교사가 40세 …(To be continued )
Download : 교사의 학습된 무기력과 의식구조 관계에 관한 고찰.hwp( 73 )
교사의 학습된 무기력과 의식구조의 관계에 상대하여 연구대상을 설정하여 연구한 결과를 쓴 글입니다.






순서
Ⅰ. 서 론
Ⅱ. theory(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1. 표집대상
2. 측정(measurement)도구
3. 검사기간 및 절차
4. 통계적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1.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학습된 무기력의 차이
2.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의식구조의 차이
3. 교사의 학습된 무기력과 의식구조와의 관계
Ⅴ. 결 론
참 고 문 헌
교사보다는 경기지역의 교사가 더 높은 지속성의 결여를 보이고 있었다.
세째, 교사의 성별에 따른 학습된 무기력 척도의 전체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 도달하지는 못했으나, 남자교사((M〓2.68, SD〓.87) 보다는 여자교사(M〓2.73, SD〓.81)가 무기력의 점수가 더 높았다.
그러나 하위요인인 과시욕 결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 F(3, 1033) 〓 12.38, p[.001)를 보였다. 사후검증결과 30세미만의 교사가 다른 연령의 교사보다 과시욕의 결여점수가 낮았고, 31세~40세의 교사도 51세 이상의 교사보다 과시욕의 결여점수가 낮았다.
교사의,학습된,무기력과,의식구조,관계에,관한,고찰,사범교육,레포트
설명
교사의 학습된 무기력과 의식구조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대상을 설정하여 연구한 결과를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