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력 측정(測定)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3 23:21
본문
Download : 부력 측정.hwp
2. 오차의 原因 & 오차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① 이론(理論) 오차
결과 分析을 할 때 이론(理論)적인 중력 가속도 g를 9.81㎨로 잡아서 계산했는데, 이는 북위 37°에서의 표준 중력 가속도인 9.799㎨와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표준 중력 가속도 역시 實驗실에서의 실측 중력 가속도와 미세하나마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계산 결과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아
또한 이론(理論)적인 물의 밀도를 103kg/m3로 잡고 오차를 계산했지만, 이것은 4℃에서 순수한 물의 밀도이다.
부력 측정 실험의 결과 보고서 입니다.
황동 원통의 경우 최소 자승법을 이용한 경우 0.1%의 오차가 생겼지만, 각각의 구간에서 부력을 측정(measurement)한 후, ρf = Fb/gV를 이용하여 물의 밀도를 계산한 경우 비교적 큰 8.43 %의 오차가 생겼다.)
② 實驗 오차
* environment 오차
- 實驗할 때 이용한 테이블이 지면과 완전히 수평이 되지 않았을 수 있으며, 힘 센서를 설치한 스탠드도 지면과 수직을 이루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아
- 시료가 물에 잠기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랩…(省略)
다.부력측정-결과보고서 , 부력 측정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부력 측정(測定)
부력측정(測定) -결과보고서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부력 측정.hwp( 19 )
2. 토의
1. 이론(理論)치와의 오차
이번 實驗은 서로 밀도가 다르고 부피가 같은 황동원통과 알루미늄 원통을 이용하여, 부력에 관계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측정(measurement)하는 實驗이다. 實驗실의 온도가 4℃ 이상이었고, 순수한 물이 아닌 수돗물을 이용하였으므로 물의 실제 밀도는 103kg/m3과 약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아 (물의 밀도는 4℃에서 103kg/m3로 최대이며, 20℃에서는 약 999kg/m3 정도이다. 두 번째 알루미늄 원통의 경우 역시 최소 자승법을 이용한 경우 비교적 작은 2.8%의 오차가 생겼지만, 각각의 구간에서 부력을 측정(measurement)한 후, ρf = Fb/gV를 이용하여 물의 밀도를 계산한 경우 비교적 큰 8.65%의 오차가 생겼다.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부력 측정(測定) 實驗(실험)의 결과 보고서 입니다. 實驗을 통해 아르키메데스의 원리(Fb = mfg = ρfgV)를 검증하고, ρf = s/Ag 와 ρf = Fb/gV를 이용하여 역으로 물의 밀도를 계산하여, 實驗의 정확성 여부를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