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란 무엇인가 - 역사가와 사실들의 상호작용의 과정인 역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9 07:54
본문
Download : 역사란 무엇인가 - 역사가와 사실들의 상호작용의 과정인 역사.hwp
레포트/기타
다.
다음으로 E. H. Carr는 콜링우드의 역싸관의 위험성에 상대하여도 지적하고 있다아
역싸를 구성하는 데에서 역싸가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은, 만일 그것을 논리적으로 끝까지 밀고 나가면, 모든 객관적인 역싸를 배제시키는 것이 되기 쉬운데, 그렇게 되면 역싸는 역싸가가 만드는 것이 되어버린다는 것이다.[역사학]역사란무엇인가 , 역사란 무엇인가 - 역사가와 사실들의 상호작용의 과정인 역사기타레포트 ,
설명
1. 역싸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
2. 사실을 중시하는 관점
3. 역싸가의 해석을 강조하는 관점
4. 역싸에 대한 E. H. Carr의 관점
5. 역싸가와 사실간 관계의 중요성
E. H. Carr는 먼저 몇 가지 진리를 드러내고 있는 이 관점에 대해 공감을 표현하고 있다아
첫째, 역싸의 사실들은 기록자의 마음을 통과하면서 항상 굴절된다는 것과 둘째, 역싸가는 자신이 다루고 있는 사람들의 마음, 그들이 행위의 배후에 있는 생각을 상상적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 마지막으로 셋째는 우리는 오로지 현재의 눈을 통해서만 과거를 조망할 수 있고 과거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점이다.
4. 역싸에 대한 E. H. Car…(drop)
역사란 무엇인가 - 역사가와 사실들의 상호작용의 과정인 역사
나는 이 리포트를 통해 E. H. Carr의 《역사란 무엇인가》의〈역사가와 그의 사실〉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이 쉽지 않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조금이나마 얻어 보려고 한다.
순서
,기타,레포트
Download : 역사란 무엇인가 - 역사가와 사실들의 상호작용의 과정인 역사.hwp( 37 )



[역사학]역사란무엇인가
나는 이 레포트를 통해 E. H. Carr의 《역사란 무엇인가》의〈역사가와 그의 사실〉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이 쉽지 않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조금이나마 얻어 보려고 한다.
역싸가가 현재의 눈을 통해서 사실들을 연구하고 해석한다면 해석의 기준은 현재를 위한 것이 될 것이고 그 결과 역싸의 사실은 무(無)가 되고 해석이 전부가 될 것이다.10) 그러면 결국 역싸의 의미가 무한하다는 theory(이론)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