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看護學(간호학)] 백혈구 / WH IT E CELL DISORDER백혈구 질환 1. 백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23:58
본문
Download : [간호학] 백혈구.hwp
2. reactive leukocytosis (백혈구 증가증)- 백혈병은 아니며, 감염이 왔을 때 세균 또는 비세균에 저항하기 위해 백혈구가 활성화 되어있는 상태이다.- 백혈구 증가증의 종류와 그 原因 (대충 기억만하고 넘어가시길) ① 호중구 증가 - 세균감염...... ② 호산구 증가 - 기생충 감염, 알러지...... ③ 호염기구 증가 - 잘 안 일어남...... ④ 단핵구 증가 - 만성감염, 박테리아 감염...... ⑤ 림프구 증가 - 바이러스 감염......1) infectious mononucleosis (전염성 단핵구증 IM)① 젊은이들에게 많이 일어남.② B림프구 친화성 EBV(허피스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때로는 세포의 형질전환을 일으키 기도 한다. 자세한 기전은 중요하지 않다하셨고, 쉽게 백혈구를 못 만들 때, 또는 백혈구가 빨리 깨어질 때 생길 수 있는 증상이다. ④ 대부분이 aproductive한 감염이며, viral DNA는 세포에 잠복해 있는 형상을 띈다. ex) B cell lymphoma)의 감염이 그 原因이 됨. (때문에 B 림프구가 몰려있 는 림프절이나 림프조직들이 EBV의 수용체가 된다 )③ 전염경로는 oral contact (kissing cousin) 로 인해, 구강인두 상피에 있는 림프조직을 감염시킨다.- 백혈구의 감소로 기회감염을 잘 일으킨다. (...
다. 특히 입 안에서 감염이 잘 일어난다.
Download : [간호학] 백혈구.hwp( 92 )
설명
![[간호학] 백혈구-602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9/%5B%EA%B0%84%ED%98%B8%ED%95%99%5D%20%EB%B0%B1%ED%98%88%EA%B5%AC-6021_01.gif)
![[간호학] 백혈구-6021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9/%5B%EA%B0%84%ED%98%B8%ED%95%99%5D%20%EB%B0%B1%ED%98%88%EA%B5%AC-6021_02_.gif)
![[간호학] 백혈구-6021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9/%5B%EA%B0%84%ED%98%B8%ED%95%99%5D%20%EB%B0%B1%ED%98%88%EA%B5%AC-6021_03_.gif)
![[간호학] 백혈구-6021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9/%5B%EA%B0%84%ED%98%B8%ED%95%99%5D%20%EB%B0%B1%ED%98%88%EA%B5%AC-6021_04_.gif)
![[간호학] 백혈구-6021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9/%5B%EA%B0%84%ED%98%B8%ED%95%99%5D%20%EB%B0%B1%ED%98%88%EA%B5%AC-6021_05_.gif)
간호학 백혈구 WH IT E CELL DISORDER백혈구 질환 1. 백혈
순서
WHITE CELL DISORDER백혈구 질환 1. 백혈구 감소병 leu...
레포트 > 의학계열
[看護學(간호학)] 백혈구 / WH IT E CELL DISORDER백혈구 질환 1. 백혈
WHITE CELL DISORDER백혈구 질환 1. 백혈구 감소병 leu...
WHITE CELL DISORDER백혈구 질환 1. 백혈구 감소병 leukopenia2. 백혈구 증가병 1) reactive (leukocytosis, lymphadenitis) . 2) neoplasticNon - neoplastic disorder of white cell1. leukopenia (백혈구 감소증)- 대게 호중구의 감소로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