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살펴 본 프로테스탄티즘과 자본주의의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22:06
본문
Download :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hwp
어쨌든 중요한 것은 종교가 삶의 형식을 바꿀 수 있고, 그것은 경제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p.44) 이것은 「전통주의」라 불리는 태도이다.
어떤 집단의 종파상의 소속이 그 집단의 경제적 현상의 요인인지, 아니면 그 결과인지는 확실히 말하기 어렵다.
순서
다.(p.38)
저자는 아니라고 답한다. “인간은 그 본성상 더 많은 돈을 벌려는 것이 아니고 단지 자신이 살아온 대로 살고 그에 필요한 만큼만 벌려고 한다. 아마도 원인 또는 결과 모두로서 작용하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그의 글에서 나타나는 윤리의 최고선이란 ‘돈을 벌고 더욱더 많은 돈을 버는 것’이다.”(p.31) 따라서 우리는 자본주의 정신과 프로테스탄티즘의 관계를 세속성의 문제에서가 아니라 그 순수한 ‘종교적 성격’으로부터 찾아야 한다. 아마도 요인 또는 결과 모두로서 작용하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가톨릭은 흔히 ‘비세속적인’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며, 그것의 “최고의 이상인 금욕적 성격이 신자들로 하여금 현세의 재물에 대해 보다 강한 무관심을 보이게 하였다.”(p.27) 이에 반해 프로테스탄티즘은 ‘그 세속적인 물질주의’로 인해 가톨릭의 비난의 대상이 되어왔다. 하지만 이것은 단순한 처세술이 아니라 하나의 ‘윤리적 색채를 띤 생활영위의 격률’ 이다.
프로테스탄티즘적인 자본주의 정신이란 어떤 것인가. 그 특징은 이 책의 1부 2장의 ‘자본주의 「정신」’에 인용된 벤저민 프랭클린의 글에 확연히 나타나 있다 얼핏 보면 이것은 자본의 획득에 관한 어떤 처세술임에 보인다. 이런 관점에서 막스 베버는 자본주의적인 부의 축적과 프로테스탄티즘의 관계에 주목한다. 이런 관점에서 막스 베버는 자본주의적인 부의 축적과 프로테스탄티즘의 관계에 주목한다.
Download :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hwp( 70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실제로 많은 부분에서 종교개혁 이후로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티즘은 대립해 왔다. 이런 태도를 바꾸는 데에는 임금의 유인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오직 길고도 지속적인 교육과定義(정이) 산물”(p.46)만이 그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 교육의 기능을 종교가 담당한 것이다. 어쨌든 중요한 것은 종교가 삶의 형식을 바꿀 수 있고, 그것은 경제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설명
이러한 독특한 생각은 어디서 기인한 것일까? 사실 이런 사상은 인간의 본성과 합치되지 않는 것이다. 프로테스탄티즘의 세속성, 이것이 과연 자본주의적인 부의 축적의 原因이 될 수 있는가?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살펴 본 프로테스탄티즘과 자본주의의 관계
막스 베버,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프로테스탄티즘과 자본주의의 관계
어떤 집단의 종파상의 소속이 그 집단의 경제적 현상의 원인인지, 아니면 그 결과인지는 확실히 말하기 어렵다. 프로테스탄티즘의 성격에 대한 이런 일종의 스테레오타입은 오히려 사실과 반대되는 것이다. 종교개혁 이후의 초기 프로테스탄티즘은 “오늘날 가장 극단적인 종교가들도 없어서는 안 될 것으로 인정하는 근대적 삶의 모든 측면에 대해 적대적이었다. “그것도 모든 적나라한 향락을 엄격히 피하면서 행복주의적이고 쾌락주의적인 모든 단점을 전적으로 벗어나 돈 버는 것을 그저 자기목적으로 여기므로 개인의 행복과 효용에 대립되는 전혀 초월적이고 단적으로 비합리적인 것”이며, “인간은 돈벌이를 자신의 물질적 생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삶의 목적 자체로 여기는 것”이다.